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 (203)

제주 모 지검장의 음란성 행위는 한국 전체를 떠들썩하게 하였지만, 개인이 정신적인 치료를 받겠다는 말과 그의 행동을 성도착증이라고 대중매체에서 결론을 지으면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이 사건은 몇 가지 오류와 사회문화적인 중요성이 있다. 우선 도착증과는 조금 다르다. 성도착증은 미국 정신의학회 분류(DSM-V)에서 정한 정신질환이다. 성도착증에는 노출증, 관음증, 소아기호증, 가학증과 피학증, 마찰도착증, 복장도착적, 물품음란증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런 성도착증의 특성은 18세 이전에 발병하여 20대 중반에 나타나다가 그 이후로 감소된다는 점이다. 노출증도 40대 이후에는 상태가 완화된다. 제주의 모 지검장 나이는 53세였다. 그의 나이와 일련의 행동을 종합하여 판단하여 보면 성도착증이라기보다는 성 중독증이라고 조심스럽게 판단하여 본다.

한국 심리학회에서의 성 중독(sexual addict)은 사회적으로는 성공했으나 개인적으로는 심한 고독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성적 모험을 통해 자기 존재를 확인하려고 애쓰는 증세를 말한다. 성(섹스)중독증이란 용어는 1983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Patric Kerons가 처음 사용하였으나 아직 의학적으로는 정립되지 않은 용어이다. 성 중독이 죄의식을 느끼면서도 또다시 빠져드는 악순환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성욕 과잉증’, ‘성적 강박증’이라고도 한다. 코넬대의 Sujon Nadan 교수는 “성행위 뒤 죄의식을 느끼면서도 나빠진 기분을 다시 섹스로 푸는 ‘섹스 중독증의 악순환’에 빠진다”고 설명하였다. 섹스중독증은 자위, 포르노, 윤락, 음란전화, 변태 등으로 나타나며, 열등감이나 정서불안, 우울증 등을 해소하기 위해 성에 빠진다. 따라서 조울증이나 경조증 환자는 기분이 좋을 때는 조증상태에서 섹스에 몰입하기도 한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성 중독이 병인지는 논란 중이지만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한다. 성 중독은 외설적인 섹스 행위에 빠지고픈 충동을 절제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도보다 더 오랫동안, 더 광범위하게, 자주 성행위에 빠져들며, 이런 행동을 자제하려고 해도 번번이 실패하면서 결국 직업, 학업, 직장, 가정의 붕괴를 초래한다. 특징적인 것은 성적인 집착으로 섹스를 통해 쾌감을 느끼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울증, 절망감, 부끄러움, 허탈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런 중독적인 특징 때문에 성행위에 대해 강박관념을 가지게 되고, 성적 행위를 하지 못할 경우에는 불안해지면서 성적인 행위에 더욱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 어떤 연구에 의하면 성 중독증이 우리나라에도 5% 정도 존재한다고 추정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특히 경제적 여유가 있는 상류층이 많다고 보고하였다. 사회 상류층은 인격적, 도덕적인 측면에서 모범적 행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결과는 정치·사회적으로 성공한 성취 지향적 인물이나 경제적 여유가 있는 상류층들이 성 중독에 빠질 위험성이 높고, 불행한 부모 관계와 왜곡된 남성주의적 가치관 등을 경험한 경우가 많았다고 하였다.

또 성 중독은 네 가지의 유형이 있다. 첫째, 성관계 후 다른 여자를 찾는 형태, 둘째, 동시에 여러 여자와 성관계를 갖는 형태, 셋째, 맺어질 수 없는 파트너에게 계속 집착하는 형태, 넷째, 강박적으로 자위행위에 몰입하는 형태이다. 성 중독의 주기는 1. 몰입(성행위에 대한 집착의 단계), 2. 의식화(습관적 행동으로 옮기는 단계), 3. 강박적 성행위(성 행동의 단계), 4. 절망(자포자기 단계)이다. 이상의 것으로 판단해보면 제주 모 지검장의 행동은 성도착증보다는 성 중독증에 유사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물론 이것이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으나 현재 우리사회의 사회문화적, 직업적인 문제의 결과일수도 있기 때문에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중요하게 신중히 검토해 보아야 한다. 더불어 요즘은 인터넷이나 영상매체를 통한 성이 증가하면서 사이버 성 중독증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속에 청소년들이 폭력만큼이나 상업적인 성에 어떠한 대책이나 대비도 없이 무책임하게 노출되었다.

이 사건은 지금이 성에 대하여 사회문화와 심리적인 접근이 절실히 필요한 때임을 사사하고 있다.

Leave a Reply